임신 초기, 많은 산모들이 설렘과 함께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특히 계류유산이라는 단어는 임산부들에게 무겁게 다가올 수 있죠. 하지만 계류유산에 대해 정확히 알고, 내 몸을 잘 관리한다면 불안보다는 건강한 임신을 위한 준비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계류유산의 원인, 증상, 그리고 예방을 위한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참고하셔서 건강한 임신 생활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계류유산이란?
계류유산(稽留流産, missed abortion)은 태아가 자궁 내에서 사망했지만 자궁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머무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임신 6~12주 사이에 많이 발생하며,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자각하기 어려운 것이 특징입니다.
2. 계류유산의 주요 원인
계류유산의 대부분은 산모의 잘못이 아니라 자연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 태아 염색체 이상 – 가장 흔한 원인으로 유전적 결함
- 호르몬 불균형 – 황체호르몬 부족 시 착상 유지 어려움
- 면역학적 요인 – 산모가 태아를 외부 물질로 인식
- 자궁 구조 이상 – 자궁기형, 유착, 근종 등
- 기저 질환 – 당뇨, 갑상선 질환, 고혈압 등 만성 질환
이러한 원인 대부분은 산모가 통제하기 어려운 영역이므로 자책보다는 전문의의 진단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3. 계류유산의 증상 – 자각하기 어려운 이유
계류유산은 유산임에도 불구하고 출혈, 복통 같은 일반적인 증상이 거의 없거나 매우 경미합니다.
- 입덧, 유방 통증 등 임신 증상이 갑자기 사라짐
- 가벼운 갈색 분비물 또는 미량의 출혈
- 복부 묵직함 또는 미세한 통증
이 때문에 대부분은 정기 초음파 검진 중에 발견됩니다. 태아의 심장 박동이 보이지 않거나 크기 성장 정지로 확인됩니다.
4. 진단 후 대처 방법
- 자연 배출 유도 – 일정 기간 관찰하며 자연 배출을 기다리는 방법
- 약물 유도 – 자궁 수축을 유도하는 약물로 배출
- 소파술 – 자궁 내 태아 조직을 수술로 제거
의료진은 자궁 상태, 주수, 건강 상태를 고려해 가장 적절한 방법을 제안합니다. 이후에는 휴식과 정서적 회복이 중요합니다.
5. 계류유산 예방을 위한 생활 수칙
모든 유산이 예방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건강한 임신 유지를 위한 생활 습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엽산 섭취 – 신경관 결손 및 염색체 이상 확률 감소
- 충분한 수면과 휴식 – 무리한 활동 지양
- 스트레스 관리 – 정서적 안정 유지
- 카페인·흡연·음주 피하기
- 정기적인 산전검진 – 이상 발견 및 조기 조치
과로, 불규칙한 생활, 불안정한 식습관은 태아에게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임산부를 위한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험관 시술할 때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 제도 안내 (0) | 2025.04.23 |
---|---|
임신 중 철분 섭취가 중요한 이유 (0) | 2025.04.21 |
초기 임산부의 유산 가능성과 예방 방법 (0) | 2025.04.20 |
임신 중 혈압 관리하는 법 (0) | 2025.04.19 |
태아 발달을 돕는 필수 영양소 정리 (0) | 2025.04.19 |